태영건설의 주 채권은행인 산업은행은 "태영건설이 오늘 오전 워크아웃을 신청했다"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꾸준히 유동성 문제가 제기됐지만 이를 부인했던 태영건설이 워크아웃을 신청한 것은 만기가 도래한 부동산 PF 대출 상환 문제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서울 성동구 성수동 오피스 개발 사업과 관련한 480억 원 규모의 PF 채무의 만기가 오늘입니다. <br /> <br />태영건설의 순수 부동산 PF 잔액은 3조 2천억 원이며, 이달까지 만기인 PF 보증 채무는 3,956억 원입니다. <br /> <br />태영건설의 3분기 말 기준 순차입금은 1조 9,300억 원, 부채 비율은 478.7%로, 시공 능력 평가 35위 내 건설사에서 가장 높은 부채 비율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자력으로 채무를 상환하는 것이 불가능한 기업을 대상으로 하는 워크아웃은 채권단이 75% 이상 동의하면 개시됩니다. <br /> <br />태영건설의 주요 채권은행은 2천2억 원을 빌려준 산업은행을 비롯해 국민은행과 기업은행, 우리은행, 신한은행, 하나은행으로, 워크아웃에 들어가면 채권단 관리하에 대출 만기 조정, 신규 자금 지원 등을 받게 됩니다. <br /> <br />시공능력 순위 16위의 중견기업인 태영건설이 워크아웃을 신청하면서 부동산 PF 부실로 인한 건설업체들의 연쇄 위기 등 파장이 예상됩니다. <br /> <br />분양 시장 침체가 내년에도 이어질 것으로 전망되면서 22조 8천억 원 규모의 PF 우발채무가 현실화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올해 9월 말 기준으로 부동산 PF 규모가 134조 3천억 원에 이르는 만큼, 건설업계의 PF 위기는 금융권 부실로 연결될 우려도 있습니다. <br /> <br />금융감독원 전자공시를 보면 태영건설이 국내 은행권으로 빌린 금액은 PF 대출이 포함된 장기 차입금 4,693억 원과 단기 차입금 2,250억 원 등 총 7,243억 원입니다. <br /> <br />워크아웃 과정에서 채권행사 유예 등을 수반하는 구조조정이 추진돼, 금융기관들은 채권 일부에 대한 손실을 감수해야 할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또 태영건설 신용등급 강등에 따른 간접 손실도 우려됩니다. <br /> <br />정부는 PF 문제가 금융권·건설업권 위기로 번지지 않도록 대책을 강구 중입니다. <br /> <br />지금까지 경제부에서 YTN 이승윤입니다. <br /> <br />자막뉴스ㅣ이 선 <br /> <br />#YTN자막뉴스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34_20231228110722830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